메뉴 건너뛰기

전례력

202311월 위령성월 전례력

요일

전례력

1

모든 성인 대축일

2

죽은 모든 이를 기억하는 위령의 날

3

연중 제30주간 금요일

4

성 가롤로 보로메오 주교 기념일

5

연중 제31주일

6

연중 제31주간 월요일

7

연중 제31주간 화요일

8

연중 제31주간 수요일

9

라테라노 대성전 봉헌 축일

10

성 대 레오 교황 학자 기념일

11

투르의 성 마르티노 주교 기념일

12

평신도주일 연중 제32주일

13

연중 제32주간 월요일

14

연중 제32주간 화요일

15

연중 제32주간 수요일

16

연중 제32주간 목요일

17

헝가리의 성녀 엘리사벳 수도자 기념일

18

연중 제32주간 토요일

19

연중 제33주일

20

연중 제33주간 월요일

21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자헌 기념일

22

성녀 체칠리아 동정 순교자 기념일

23

연중 제33주간 목요일

24

성 안드레아 둥락 사제와 동료 순교자들 기념일

25

연중 제33주간 토요일

26

온 누리의 임금이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왕 대축일

27

연중 제34주간 월요일

28

연중 제34주간 화요일

29

연중 제34주간 수요일

30

성 안드레아 사도 축일

 

1: 모든 성인 대축일

오늘은 하늘 나라의 모든 성인을 기리는 대축일로, 하느님과 함께 영광을 누리는 성인들의 모범을 본받고자 다짐하는 날이다. 특히 전례력에 축일이 별도로 지정되지 않은 성인들을 더 많이 기억하고 기리는 날이다. 동방 교회에서 먼저 시작된 이 축일은 609년 보니파시오 4세 교황 때부터 서방 교회에서도 지내게 되었다. 513일에 지내던 이 축일을 9세기 중엽 111일로 변경하였다. 교회는 이날을 통하여 그리스도인들에게 죽음 뒤의 새로운 삶을 바라며 살아가도록 미래의 영광스러운 모습을 보여 준다. 또한 지상의 우리와 천국의 모든 성인 사이의 연대성도 깨우쳐 준다. 

 

2: 죽은 모든 이를 기억하는 위령의 날

 

죽은 모든 이를 기억하는 위령의 날은 죽은 모든 이의 영혼, 특히 연옥 영혼들이 하루빨리 하느님 나라에 들어갈 수 있도록 기도하는 날이다. 오늘 모든 사제는 세 대의 위령 미사를 거행할 수 있다. 이러한 특전은 15세기 스페인의 도미니코 수도회에서 시작되었다. 교회는 모든 성인 대축일111일부터 8일까지 정성껏 묘지를 방문하여 세상을 떠난 이들을 위해서 기도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4: 성 가롤로 보로메오 주교 기념일

성 가롤로 보로메오 주교는 1538년 이탈리아 북부 아로나 지방의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다. 비오 4세 교황이 그의 외삼촌이다. 신심 깊은 가정에서 어린 시절을 보낸 그는 일찍부터 학문 연마에 힘썼으며, 사제가 되어 훗날 밀라노의 대주교로 임명된 뒤에는 교회 개혁에 크게 이바지하였다. 또한 가롤로 보로메오 주교는 가난하고 고통받는 이들을 위한 제도적인 지원책을 마련하여 널리 보급시켰다. 1584년에 선종한 그를 1610년 바오로 5세 교황이 시성하였다.

 

9: 라테라노 대성전 봉헌 축일

라테라노 대성전은 로마에 있는 최초의 바실리카 양식의 대성당이다. 오늘 축일은 324년 콘스탄티누스 대제가 라테라노 대성전을 지어 봉헌한 것을 기념하는 날이다. 이 대성전은 모든 성당의 어머니요 으뜸으로 불리면서 현재의 베드로 대성전으로 옮겨지기 전까지 거의 천 년 동안 역대 교황이 거주하던, 교회의 행정 중심지였다. 각 지역 교회가 로마의 모()교회와 일치되어 있음을 드러내고자 라테라노 대성전의 봉헌 축일을 지낸다.

 

10: 성 대 레오 교황 학자 기념일

성 대 레오 교황은 400년 무렵 이탈리아 토스카나 지방의 한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다. 440년 식스토 3세 교황의 뒤를 이은 그는 행정 능력이 뛰어났을 뿐 아니라 깊이 있는 설교로도 유명하였다. 레오 교황은 무엇보다도 교회의 일치와 정통 신앙을 수호하고자 이단을 물리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그는 재임 중인 451년에 열린 칼케돈 공의회에서 에우티케스, 네스토리우스 등의 이단을 단죄하고 정통 교회를 수호하였다. 461년에 선종한 레오 교황을 1754년 베네딕토 14세 교황이 시성하였다.

 

11: 투르의 성 마르티노 주교 기념일

성 마르티노 주교는 316년 무렵 헝가리 판노니아의 이교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로마에서 공부한 그는 군인으로 근무하던 중 인생의 전환점이 되는 신비 체험을 하였다. 어느 날 추위에 떨고 있는 한 걸인에게 자신의 외투 절반을 잘라 주었는데, 그날 밤 꿈속에 그 외투 차림의 예수님께서 나타나신 것이다. 곧바로 세례를 받고 신자가 된 그는 나중에 사제가 되었고, 370년 무렵에는 프랑스 투르의 주교로 임명되어 착한 목자의 모범을 보이며 복음 전파에 전념하였다. 프랑스 교회의 초석을 놓은 마르티노 주교는 프랑스 교회의 수호성인 가운데 한 사람으로 존경받고 있다.

 

12: 평신도 주일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는 매년 연중 제32주일을 평신도주일로 정하고, 전국 각 본당에서 평신도의 강론과 평신도 사도직을 위한 헌금을 실시하도록 배려하고 있다.
1968723일 창립총회를 통해 결성된 한국 천주교 평신도사도직협의회 (당시 명칭: 한국가톨릭 평신도사도직 중앙협의회)는 한국평협 인준과 매년 11월 어느 주일을 평신도사도직의 날로 제정해 줄 것을 주교회의에 건의했고, 주교회의는 같은 해 1014-16일 개최된 추계 정기총회에서 한국평협 인준과 함께 구세주 대림 첫 주일을 평신도의 날로 제정했다.

이 날을 택한 이유는 이 시기가 한국교회 창설 주역의 한 분인 이승훈(베드로)1783년 동지사 일행을 따라 북경으로 가던 때와 맞먹기 때문이었다.

 

17: 헝가리의 성녀 엘리사벳 수도자 기념일

엘리사벳 성녀는 1207년 헝가리에서 공주로 태어났다. 남부럽지 않게 안락한 생활을 할 수 있었으나 어려서부터 신심이 깊었던 성녀는 참회와 고행의 생활을 하며 많은 사람에게 자선을 베풀었다. 엘리사벳은 남편이 전쟁으로 사망하자 재속 프란치스코회에 가입하여 기도 생활과 자선 활동에 전념하였다. 1231년 스물넷의 이른 나이에 선종한 엘리사벳 성녀는 자선 사업의 수호성인으로, 재속 프란치스코회의 수호성인으로 공경받고 있다.

 

21: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자헌 기념일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자헌 기념일은 성모님께서 원죄 없이 잉태되실 때 가득하였던 그 성령의 감도로 어린 시절부터 하느님께 봉헌되신 것을 기리는 날이다. 성모님의 부모인 요아킴과 안나는 성모님께서 세 살 되시던 해에 성전에서 성모님을 하느님께 바쳤다고 전해 온다. 이날은 본디 6세기 중엽 예루살렘에 세워진 성모 성당의 봉헌을 기념하는 날이었으나, 1472년 식스토 4세 교황이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자헌 기념일로 선포하였다.

 

22: 성녀 체칠리아 동정 순교자 기념일

체칠리아 성녀는 로마의 귀족 가문 출신으로, 어린 시절부터 독실한 신앙인으로 자랐다. 성녀의 생존 연대는 정확하지 않으나 260년 무렵에 순교한 것으로 전해지며, 박해 시대 내내 성녀에 대한 공경이 널리 전파되었다고 한다. ‘체칠리아라는 말은 천상의 백합이라는 뜻으로, 배교의 강요를 물리치고 동정으로 순교한 성녀의 삶을 그대로 보여 준다. 흔히 비올라나 풍금을 연주하는 모습으로 그려진 체칠리아 성녀는 음악인의 수호성인으로 공경받고 있다.

 

24: 성 안드레아 둥락 사제와 동료 순교자들 기념일

성 안드레아 둥락 신부는 1785년 베트남의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났다. 사제가 된 뒤에는 베트남 여러 지역에서 열정적으로 사목 활동을 펼쳤다. 베트남 교회의 박해 시기에 교회의 주요 인물이었던 안드레아 둥락 신부는 관헌들의 끈질긴 추적으로 체포되어, 1839년 참수형으로 순교하였다. 1988년 성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이 그를 비롯한 베트남의 순교자들을 시성하였다.

 

26: 온 누리의 임금이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왕 대축일

전례력으로 연중 시기의 마지막 주일인 오늘은 온 누리의 임금이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왕 대축일로 인간을 구원하러 오신 예수 그리스도께서 왕(임금)이심을 기리는 날이다. 예수님께서는 당신의 목숨까지도 희생하시며 백성을 섬기시는 메시아의 모습을 실현하셨고, 스스로 낮추심으로써 높아지셨다. 1925년 비오 11세 교황이 연중 시기의 마지막 주일을 그리스도왕 대축일로 정하였다.
한국 천주교회는 1985년부터 해마다 연중 시기의 마지막 주간을 성서 주간으로 정하여, 신자들이 일상생활 가운데 성경을 더욱 가까이하고 자주 읽으며 묵상하기를 권장하고 있다. 하느님의 말씀은 그리스도인 생활의 등불이기 때문이다.
 

 

30: 성 안드레아 사도 축일

안드레아 사도는 예수님의 열두 제자 가운데 한 사람으로 베드로 사도의 동생이다. 갈릴래아의 벳사이다에서 태어난 그는 형과 함께 고기잡이를 하던 어부였다(마태 4,18 참조). 안드레아 사도는 세례자 요한의 제자였으나 예수님의 제자가 되어 형 베드로를 예수님께 이끌었다(요한 1,40-42 참조). 그리스 북부 지방에서 복음을 전파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으며, 십자가에 못 박혀 순교하였다고 알려져 있다.

 

 

성월2.jpg

 

CLOSE

SEARCH

CLOSE